▲소나무(영실)와 곰솔의 수꽃과 어린 솔방울(좌측아래) 옛부터 지조 절개 상징 삶속에 '소나무문화'제주에도 적송·해송 등 자생수종 널리 분포 산림청 통계에 따르면, 우리 국민이 제일 좋아하는 나무는 소나무라 한다.소나무는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수종으로서 목재로서의 경제적 가치는 물론 푸른 숲이 생산해내는 공익적가치도 높게 평가되고 있다. 또한 과거로부터 지조와 절개의 상징으로 세세천년 민족의 가슴속에 뿌리내려 온 나무이다. 혹자는 우리민족의 문화를 '소나무문화'라 할 만큼 소나무의 존재가 우리의 삶속에 녹아들어 있다. 대한민국 국민치고 '소나무' 라는 이름과 생김새를 모르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그런데 일반인들은 잎이 침처럼 생기고, 솔방울 모양의 열매가 달리면 소나무라 칭하기 때문에, 학술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소나무'라는 이름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종을 포함하고 있다.한반도에 자생하는 소나무속(屬) 식물은 소나무, 곰솔, 만주곰솔, 잣나무, 섬잣나무, 눈잣나무 등 6종이다.바늘잎 2개가 모여 나는 종류를 소나무류, 5개씩 모여나면 잣나무 종류이다. 이러한 바늘잎의 수를 포함해 겨울눈의 색깔, 수피의 색깔의 차이 등으로 각각의 종을 구분할 수 있다. 제주도에는 자생하는 2종류와 도입된 1종의 소나무가 자란다. 소나무와 곰솔 그리고 리기다소나무이다.소나무는 육송, 적송 등으로도 불리고, 영실 등 높은 지대에 자라며, 바늘잎이 부드럽고 겨울눈이 붉은빛이며 수피의 색이 밝은 갈색을 띤다.반면 곰솔은 해송, 흑송 등으로 불리고, 해안을 비롯한 저지대에 자라며, 바늘잎이 뻣뻣하고 겨울눈이 흰빛을 띠며 수피의 색은 흑갈색이다.리기다소나무는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얼핏 보면 소나무와 비슷하나 맹아력이 강하여 원줄기에서도 짧은 가지가 나와 잎이 나며, 침엽이 3-4장인 점으로 소나무, 곰솔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자 우리주변의 소나무를 찾아보자. 과연 여러분이 보고 있는게 소나무 일까?